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앞서 해외 사이트에서 소개한 방법을 통해 자원을 찾아봅시다.
우선 어스2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구매창 (Buy Land) 에 들어갑니다.
Earth 2
earth2.io
그리고 아래에 있는 긴 코드를 복사합니다.
function setStyle(){$(".map-toolbar").append("<a class='waves-effect waves-light btn-small' id='showFeatures'>What's here ?</a>"),$("#showFeatures").click(function(){showFeatures()}),window.mapgl.easeTo({center:[0,0],zoom:0}),window.mapgl.setStyle({version:8,name:"Blue dots",metadata:{"mapbox:autocomposite":!0,"mapbox:type":"template","mapbox:sdk-support":{js:"0.50.0",android:"6.7.0",ios:"4.6.0"},"mapbox:groups":{"45bf0c7e89724249ad82d32c248fba77":{name:"Group"}}},center:[-105.69,38.16],zoom:4.25,bearing:0,pitch:0,light:{intensity:.08,color:"hsl(41, 0%, 100%)",anchor:"map",position:[10,100,300]},sources:{"mapbox://mapbox.satellite":{url:"mapbox://mapbox.satellite",type:"raster",tileSize:256},"mapbox://mapbox.satellite-watermask":{url:"mapbox://mapbox.satellite-watermask",type:"raster",tileSize:256},composite:{url:"mapbox://mapbox.mapbox-streets-v8,ealessandrini.60h01sbw",type:"vector"}},sprite:"mapbox://sprites/ev2/ckl107xyn00ac17nvqikolcvt/b8l8yeuy4fg22z515axrafrk3",glyphs:"mapbox://fonts/ev2/{fontstack}/{range}.pbf",layers:[{id:"mapbox-satellite (1)",type:"raster",source:"mapbox://mapbox.satellite",layout:{},paint:{"raster-saturation":["step",["zoom"],-.8,8,-.6,15,-.73,22,-.73],"raster-contrast":.05,"raster-brightness-max":["step",["zoom"],.69,12.17,1,22,1]}},{id:"mapbox-satellite-watermask",type:"raster",paint:{"raster-saturation":-.47},source:"mapbox://mapbox.satellite-watermask"},{id:"place-label",type:"symbol",source:"composite","source-layer":"place_label",filter:["match",["get","filterrank"],[1],!0,!1],layout:{"text-field":["to-string",["get","name"]],"text-transform":"uppercase","text-letter-spacing":.3,"text-font":["Open Sans Bold","Arial Unicode MS Regular"],"text-size":10},paint:{"text-color":"hsl(188, 31%, 95%)","text-halo-color":"#000000","text-halo-width":1}},{id:"road",type:"symbol",paint:{"text-color":"hsl(0, 0%, 100%)","text-halo-color":"hsla(0, 0%, 0%, 0.91)","text-halo-width":.5,"text-opacity":["step",["zoom"],0,15,1]},layout:{"text-field":["to-string",["get","name"]],"symbol-placement":"line","text-size":13,"text-font":["Open Sans SemiBold","Arial Unicode MS Regular"]},source:"composite","source-layer":"road"},{id:"mrds 3",type:"circle",paint:{"circle-color":"hsl(215, 84%, 46%)","circle-radius":["interpolate",["linear"],["zoom"],0,10,13,20,15,30],"circle-opacity":["step",["zoom"],.04,7,.04,10,.04,13,.06,16,.2],"circle-blur":2},layout:{},source:"composite","source-layer":"mrds"},{id:"mrds 2",type:"circle",paint:{"circle-color":"hsl(191, 84%, 33%)","circle-radius":["interpolate",["linear"],["zoom"],0,10,12.2,20,13.5,22,15,25,22,30],"circle-blur":3,"circle-opacity":["step",["zoom"],.05,6,.05,12,.12,13,.26,15,.3,18,.6]},layout:{},source:"composite","source-layer":"mrds"},{id:"mrds 1",type:"circle",paint:{"circle-color":"hsl(191, 85%, 65%)","circle-radius":["step",["zoom"],5,13,10,22,15],"circle-blur":3,"circle-opacity":["step",["zoom"],.2,12,.43,15,.82]},layout:{visibility:"none"},source:"composite","source-layer":"mrds"},{id:"mrds",type:"circle",paint:{"circle-radius":["interpolate",["linear"],["zoom"],0,1,22,5],"circle-color":"hsl(0, 0%, 100%)"},layout:{},source:"composite","source-layer":"mrds"}],visibility:"private",draft:!1})}function showFeatures(){const e=window.mapgl.queryRenderedFeatures({layers:["mrds"]}),t=["site_name","commod1","commod2","commod3","url"],o=e.map(e=>{const o={};return t.forEach(function(t){o[t]=e.properties[t]}),o.lnglat=e.geometry.coordinates[1].toString().substring(0,8)+", "+e.geometry.coordinates[0].toString().substring(0,8),o});console.table(o),M.toast({html:"Data is printed into the console",classes:"primary darken-1"})}$(".map-toolbar").append("<a class='waves-effect waves-light btn-small' id='showBlueDots'>Show me blue dots</a>"),$("#showBlueDots").click(function(){setStyle()});
이 코드를 웹 콘솔에 입력할 것입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합니다
여기서 검사에 들어가봅시다.
이처럼 화면 우측에 웹 코드들이 뜰 것입니다. 여기서 우측 상단 메뉴바에서 콘솔을 클릭해봅시다.
다음과 같은 창이 뜰 것입니다. 여기서 맨 밑에 푸른 화살표 옆 커서가 깜빡거릴 겁니다. 여기에 코드를 붙어 넣어줍시다.
이 긴 코드를 넣고 엔터를 눌러 주면 좌측의 화면에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SHOW ME BLUE DOTS란 버튼이 생겼습니다.
이를 눌러줍시다.
다음과 같이 파란 점이 뜬 지도가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 임의로 점이 있는 부분 하나로 확대 해 봅시다.
파란 점이 있는 것까지 와 봤습니다.
여기서 점을 둘러싸고 타일을 선택한 다음, WHAT'S HERE? 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The data is displayed in console이란 창이 뜨는데, 아까 띄워 놨던 콘솔을 봐 줍니다.
이런게 콘솔 아래 쪽에 표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점에 자원이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에는 알루미늄이 있네요
조금 더 콘솔 창을 늘려보면 재화array에 3칸이 있고 나오는 광물들이 뜹니다.
다른 곳들 가보면 2랑 3에도 재화들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등장하는 양이나 빈도와 상관이 있는 지는 아직 추측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자신이 사는 땅에 어떤 광물이 등장하는 지를 알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다만 이 방법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여서, 다른 사람들이 산 땅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만일 구매하려고 드래그를 하면 선택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일부 유저들이 블루닷을 통해 타일 값이 싼 국가에서 점들을 매수를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위에 점이 있는 위치를 보시면 점이 4타일 한 가운데에 위치해 있습니다. 아직까지 제작자들이 어느 범위까지 블루닷의 자원이 나올 지 모르기 때문에 둘러싸고 있는 4개를 사는 것이 자원을 확보하기에 현재로써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가능하면 이 방식으로 매수하되, 만일 엄청 매수 하고 싶은 곳이 있으면 리스크가 있지만 인근을 구매해 보시는 것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따라서 3줄 요약하면
1. 위에 코드를 복사하고
2. 콘솔에 붙어서
3. 광물이 뜨는 곳을 매수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어스2 홈페이지에서 블루닷에 관해서 나타내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제가 살 광산을 탐색하면서 제작자들이 생각보다 이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훨씬 더 크게 보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광물자원이 제가 처음보는 단열제, 각종 원소와 관련된 광석들이 있는 등 너무나도 다양한 양이 분포되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마인크래프트와 비슷한 방식으로 건물이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공정을 통해 진행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단열재에 쓰이는 자재도 있는 것으로 보니 이런 것들을 사용해서 도시를 건설하려면 생각보다 더 큰 노력이 들 것 같습니다. 아마 개발자들이 phase2에서 자원을 강조하는 것이 이 수많은 자원들을 교환하는 것이 나중에 문명을 쌓아올리는데 중요하니, 교환이 활성화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사다 보니 금 같이 현재 earth1에서 귀한 자원이 여기서도 중요할 지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광물 매장량이 지구랑 완벽하게 같을 수는 없을 것이고, 지금 금광을 확보해서 채굴할 사람들이 많을 텐데 이게 과연 다른 광물들보다 가치가 있을까요? 초반부터 문명을 시작하면 오히려 건설할 때 중요한 건설 자재들에 관한 수요가 많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나온 정보로는 변수가 다양한 것 같은데 과연 어떤 곳을 사야 더 가치 있는 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 연재를 통해 하나하나 분석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대부호 칼럼-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칼럼을 쓰는데 원동력이 됩니다!
(땅 매수시 5% 할인 받고, 저도 5%보너스를 받습니다. 여러번 사용 가능합니다)
HNG58DY69K
'Earth 2 (투자 전략 &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5편 : 어떤 것이 희소한 자원인가? (0) | 2021.04.05 |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4편 : 내가 원하는 자원은 어디 있을까 (0) | 2021.04.05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3편 : 다이아몬드 광산을 사보자 (0) | 2021.04.01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2편 :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1) | 2021.04.01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0편 : 왜 어스 2에서 자원에 투자하는가?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