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자원 투자 연재 글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2편]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tistory.com)
제가 1편에서 블루닷 인근에서 자원이 나온다는 것은 알았지만, 어디까지 나올 지에 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처음에는 화면에서 점과 떨어진 타일을 선택한 후에 What's here를 눌러서 자원을 탐색했을 때 결과가 똑같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인근 어느 정도 범위까지 자원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작 바로 옆 칸을 선택해도 결과 값이 나오지 않았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What's here가 자원을 나타내는 기준은 땅을 선택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의심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확신으로 변한 것은 코드를 적용시킨 후 zoom out이 되었을 때 우연히 버튼을 누른 후 나타났습니다.
블루닷 인근 땅을 선택해도 자원 array들이 나왔습니다. 게다가 하나가 아닌 여러 개가 나왔습니다. 이는 영역 선택과 상관 없이 화면에 보인 모든 점들에 대한 자원을 표시해 주는 것 같습니다. 한 번 가설을 입증해 봅시다.
서울 인근에는 5개 점이 보이는 정도로 좁혔습니다. 가설이 맞다면 표에 5줄이 나타나야합니다.
맞았습니다. 따라서 인근을 매수해도 자원을 캘 수도 있을지, 개발자들이 어디까지를 자원이 나오는 곳으로 설정할 지는 아직 추측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모든 자원 발생지를 4칸으로 제한해버리면 유저들 간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소 영역을 넓혀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만 해볼 뿐입니다. 일단은 확실히 자원이 나올 만한 4칸을 우선적으로 매수하도록 합시다.
이제 버튼을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았으므로 광범위한 지역에 어떤 자원들이 분포하는 지는 파악하기 훨씬 쉬워졌습니다. 만일 원하는 자원이 있다면, 자원 분포가 표시되는 사이트에 가서 대략적 위치를 파악하고 좁혀가면 발견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를 사 봅시다.
좁혀보니 남아메리카 북부에 다이아몬드가 많이 매장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조금 더 범위를 좁혀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브라질 같은 경우는 사람들이 타일을 많이 사서 비싸므로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 쪽으로 좁혀 들어가겠습니다.
원하는 정도까지 zoom in 했으면 다이아몬드가 있는 칸에서 좌표 (lnglat칸)를 긁어옵시다. 다만 아직 어스2에 적용된 지도에서 검색이 완전히 대응되지 않을 때도 있는데 이럴 때는 어쩔 수 없이 원하는 점이 나올 때 까지 노가다를 하면서 좁혀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찾으면 원하는 자원 찾는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 원하는 자원을 미리 확보하시고 성투하세요!!
요약:
What's here 버튼은 선택 영역이 아닌 화면 내 표시된 모든 점들의 광물 자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원하는 자원으로 범위를 빠르게 좁혀가며 원하는 자원을 매수하자.
-가상대부호의 칼럼-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칼럼을 쓰는데 원동력이 됩니다!
(땅 매수시 5% 할인 받고, 저도 5%보너스를 받습니다. 여러번 사용 가능합니다)
HNG58DY69K
'Earth 2 (투자 전략 &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5편 : 어떤 것이 희소한 자원인가? (0) | 2021.04.05 |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4편 : 내가 원하는 자원은 어디 있을까 (0) | 2021.04.05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2편 :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1) | 2021.04.01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1편 :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2) | 2021.03.30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0편 : 왜 어스 2에서 자원에 투자하는가?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