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h 2 (투자 전략 & 분석)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2편 :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arrive 2021. 4. 1. 13:13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이전 글을 읽지 못한 분들은 한번 읽고 와 주시길 바랍니다. 콘솔에서 자원 탐색하는 방법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앞서 해외 사이트에서 소개한 방법을 통해 자원을 찾아봅시다. 우선 어스2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구매

metaverse.tistory.com

제가 자원 찾는 방법에 관해서 알게 된 다음 자원들을 파악하기 위해 타일들을 돌아다니며 자원들 종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안 가서 단순 노가다로 하는 것에는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러다가 콘솔 창에서 흥미로운 정보를 발견했습니다.

처음에는 전 세계의 수 많은 site_name을 어떻게 다 붙었을까 신기했습니다. 개발자들이 결재 처리나 새로운 기능들 개발하기도 바쁜다 과연 하나 하나 신경쓰면서 라벨링을 할 것 같진 않았습니다. 그러니 그 다음에 url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한번 복사해서 가보겠습니다.

 

https://mrdata.usgs.gov/mrds/show-mrds.php?dep_id=10060629

 

Rio Branco (MRDS #10060629) AU, SN

Deposit CESAR, P. DE A.B., 1984, PRINCIPAIS DEPOSITOS MINERAIS: CONCEITOS, METODOLOGIA, E LISTAGEM, CAPITULO IX, IN GEOLOGIA DO BRASIL, EDS., C. SCHOBBENHAUS, D. DE A. CAMPOS, G.R. DERZE, AND H.E. ASMUS: DEPARTAMENTO NACIONAL DA PRODUCAO MINERAL, PP. 359-4

mrdata.usgs.gov

MRDS(Mineral Resource Data System) 가 있는 사이트가 나왔습니다. Array에 나오는 정보들은 여기에 있던 데이터들을 불러와서 적용시킨 것이었습니다. 이름과 좌표, 심지어 거기 존재하는 자원까지 쉽게 불러올 수 있으니 개발자들이 사용한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눈에 띄는 정보가 있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었던 Commodities에 관련된 테이블이 있는 것은 발견했습니다. Primary인 광물이 2개인데, 이것이 Commod1번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2번과 3번에 들어가는 것은 다르지 않을까 찾아봤습니다. 블루닷 중에 광물 3단계가 다 있는 곳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예시
예시 든 곳에 Commodities에 관한 칸

Commod1에 Copper, commod2에 Gold & Silver, commod3에 Palladium이 들어있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서 Commodities 칸에 확인해보니, 이 값들이 Importance에 따라 나눠 들어 갔다는 것이 맞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1번이 Primary, 2번이 Secondary, 3번이 Tertiary 로 3단계로 나눠져 있었습니다. 중요도에 관한 것 같은데, 정확히 무엇을 뜻 하는지 사이트에서 찾은 결과,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왔습니다.

https://mrdata.usgs.gov/mrds/full/about.php?tblname=commodity

경제성과 관련된 중요도

상대적인 재화의 중요성을 1,2,3 단계로 나눴다는 말이었습니다. 1단계는 경제성이 좋고, 2단계는 보통, 3단계는 채굴하기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말이었습니다. 이런 정보가 존재한다는 것은 많은 의문을 해소시켜 주었습니다. 나중에 어떤 방식으로 채굴이 가능할 지 모르겠지만, 첫번째 칸 (commod1)에 있는 것이 경제성이 좋으므로 더 많이 수거할 수 있거나 빈도가 더 크게 나오는 등 2,3번째 칸에 있는 것 보다 더 큰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약간의 우려되는 점도 생겼습니다. 일단 공식적으로 자원이 분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든 것을 보고 투자한 전략은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걱정되는 점은 데이터가 완전히 가공된 것 같지는 않아서 제작자들이 과연 모든 원소에 대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다음 데이터를 게임에 넣은 것인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개발자들이 모든 광물들을 반영해 줄지 불확실하므로, 일단은 우리가 잘 아는 광물들 위주로 투자하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는 안전할 것 같습니다. 기왕이면 모든 원소들이 반영되기를 기원합니다.

 

요약:

commod1 칸에 원하는 광물이 나오는 곳을 우선 순위로 두고 매수하자.

추가 되길 확신할 수 없는 인지도 낮은 광물에 관한 투자는 신중하도록 하자.

-가상대부호 칼럼-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칼럼을 쓰는데 원동력이 됩니다!

(땅 매수시 5% 할인 받고, 저도 5%보너스를 받습니다. 여러번 사용 가능합니다)

HNG58DY69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