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자원 시스템에 관한 추측

이 글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정보에 관한 제 추측을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이 글은 이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로만 참고하시고, 투자할 때는 항상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블록체인 개발로 추정되는 작업이 우선시되는 바람에 자원 추가, 에센스를 비롯한 업데이트들이 밀려서 답답했지만 드디어 페이즈 2가 시작되려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아직은 자원이 나와있는 UI 외에는 크게 바뀐 게 없지만, 조만간 한 국가에서 테스트 이후 본격적으로 자원이 나오게 된다고 합니다. 최근 Q&A를 통해 개발자들이 밝힌 몇 가지 사항들을 통해 향후 자원 시스템이 어떤 방향으로 나올지 몇 가지 추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이 다소 장황한데 결론은 밑에 요약만 읽으셔도 됩니다. 우선 UI를 보면 8가지 자원이 나..

[어스2 칼럼 - 분석] 3D View의 의의

지난주부터 어스2에서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게 되었는데 바로 3D 뷰와 가격대(Price)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우선 Price 같은 경우 새로운 땅을 살 시 기존에는 직접 클릭하여 가격대를 보거나 Countries 메뉴에서 따로 조회해서 봤다면, 이제는 필터를 통해 가격대를 맞추면 조건에 맞는 나라가 푸른색으로 강조됩니다. 기존보다 편리해지긴 했지만, 아쉬웠던 점은 marketplace에 나온 매물도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에 관해 생각나는 두 가지 가능성 중 하나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매물들을 반영하기엔 현재로써는 어렵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맵 규모가 너무 크고 매물도 많다 보니 현재도 매물을 올리거나 이름을 바꾸는데 10분에 1번으로 제한을 두고 있는데, 이들을 지도 상에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어스2 칼럼 - 분석] 디센트럴랜드를 통해 보는 어스2 개발 방향

※ 이 글은 제 주관과 예상이 많이 들어갔습니다. 다른 관점도 생각해 보시고 신중하게 투자 바랍니다. ​ 제가 어스2에서 어떤 방식으로 시스템이 변경될 것인지 다른 게임 사례들을 참고하다가 디센트럴랜드에서 진행했던 방향과 어스2를 비교해보면 흥미로울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가상 부동산 게임이기 때문에 발전상을 참고하면 어스2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우선 디센트럴랜드의 개발 로드맵입니다. 디센트럴랜드는 발전 단계를 인류의 역사에 관련하여 나타냈습니다. 석기 시대 (Stone Age)부터 실리콘 시대(Silicon Age)까지 나누었는데 어스2의 phase에 해당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각 단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Stone Age (석기 시대) : 디..

[어스 2 칼럼 - 블록체인] 1편 : 왜 블록체인이 도입될 수 밖에 없는가

※ 다음 글은 필자의 예측과 주관이 다소 들어가 있습니다. 투자 시에는 신중하게 판단 부탁드립니다. ​ 제가 어스2에 투자하게 된 계기는 이 프로젝트가 향후에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 성장할 시 가장 매력적일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가상현실에 바라는 것은 현실에 가까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세상입니다. 다른 프로젝트들은 현재 구현이 가능한 수준에서 가상현실 플랫폼들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어스2는 현실 세계 수준을 재현하고자 하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이런 기대에 찬 사람들이 가상 부동산을 적극적으로 타일들을 매수하게 되었고, 어스2는 약 5개월이 지난 현 시점에 사용자들이 40만명 넘게 투자하는 등 급격한 성장을 이뤄내었습니다. ​ 다만 가상 지구를 구현하는 과정은 매우 어려울..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6편 : 블루닷에 나온 자원 리스트 정리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자원 투자 연재 글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2편]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3편] 다이아몬드 광산을 사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4편] 내가 원하는 자원은 어디 있을까 (tistory.com)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5편 : 어떤 것이 희소한 자원인가? (tistory.com) 지난 번에 찾아 낸 자원 리스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엑셀로 정리했습니다. 제가 이 분야 전공자는 아니라서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그 점은 미리 양해 바랍니다. 주의점 적은 순으로..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5편 : 어떤 것이 희소한 자원인가?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자원 투자 연재 글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2편]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3편] 다이아몬드 광산을 사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4편] 내가 원하는 자원은 어디 있을까 (tistory.com) Mineral Resources Data System: by commodity (usgs.gov) Mineral Resources Data System: by commodity mrdata.usgs.gov 지난 번에 소개했던 사이트에서 분포 지도 외에도 엄청 유용한 정보들을 발견하..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4편 : 내가 원하는 자원은 어디 있을까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자원 투자 연재 글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2편]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3편] 다이아몬드 광산을 사보자 (tistory.com) 블루닷이 알려진 후, 자원들의 분포를 볼 때 국내 및 해외 분들이 많이 이용하시는 사이트가 생겼습니다. https://earth2biomes.com 확실히 자신이 원하는 자원에 관해서 필터링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하지만 제가 지난 번 글을 쓰다가 다소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남미 중부에 다이아몬드가 많이 매장되어 있고 같은 MRDS 데이터를 ..

[뉴스] 이스터에그 : 어스2 입문하기 딱 좋은 이벤트 (KST 4/4(일) 07시 시작)

최근에 NFT나 메타버스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가상부동산 게임인 어스2에 관해 관심 갖는 분들이 많아지셨습니다. 특히 코인 투자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 초창기 코인처럼 어스2도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성장할 시 어마어마한 수익을 창출할 것을 기대하며 뛰어드신 분들이 많으십니다. 하지만 현재 시작한지 4개월인 초창기고 나온 정보가 없어서 입문하기를 꺼리시는 분들도 분명 계실 것 같습니다. 이렇게 망설이시는 분들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가 이번 주말에 시작되어 소개시켜 드릴려고 합니다. 기독교 국가들에서는 춘분 후 첫 보름달이 뜨는 일요일을 부활절로 지정하여 명절을 보냅니다. 그 중 특이한 풍습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꾸민 달걀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것이 근/현대로 오면서 새로운 문화가 ..

[어스2 전략 - 자원투자] 3편 : 다이아몬드 광산을 사보자

이 글이 유용하셨다면 자원 확보할 때 제 레퍼럴 코드를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HNG58DY69K 자원 투자 연재 글 [자원투자 전략 1편] 자원이 있는 곳을 찾아보자 (tistory.com) [자원투자 전략 2편] 어떤 광산을 사는 것이 이득일까? (tistory.com) 제가 1편에서 블루닷 인근에서 자원이 나온다는 것은 알았지만, 어디까지 나올 지에 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처음에는 화면에서 점과 떨어진 타일을 선택한 후에 What's here를 눌러서 자원을 탐색했을 때 결과가 똑같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인근 어느 정도 범위까지 자원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작 바로 옆 칸을 선택해도 결과 값이 나오지 않았다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What's here가 자..